"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윈도우 앱 개발 프레임워크"라는
•
화려한 수식어와 함께 등장한 WinUI 3.
•
많은 개발자들이 모던한 UI와 개선된 성능에 대한 기대를 품고 도전했지만, 현실의 벽은 생각보다 높았습니다. "XAML 오류 때문에 3일 밤낮으로 고생했다"는 하소연이 낯설지 않을 정도로, 현장의 목소리는 기대와는 사뭇 다른데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짝이는 홍보 문구 뒤에 가려진 WinUI 3의 실제 업계 평판과 개발자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점들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또한, 왜 수많은 개발자들이 결국 검증된 기술인 WPF로 다시 돌아오는지, 그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기대와 다른 현실, WinUI 3의 냉정한 업계 평판
WinUI 3는 분명 Win32와 UWP의 장점을 결합하려는 야심 찬 시도입니다. 하지만 개발자 커뮤니티의 실제 반응은 "아직 프로덕션에 사용하기엔 이르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레딧(Reddit), 깃허브(GitHub), 스택 오버플로우(Stack Overflow)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개발자들의 솔직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직도 프로덕션 레디가 아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잦은 버그와 불안정한 동작으로 인해 실제 상용 제품, 특히 안정성이 중요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2.
"WPF에서 굳이 옮길 이유를 못 찾겠다": WinUI 3가 제공하는 새로운 기능들이 기존 WPF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하거나, 혹은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고 불안정성을 감수할 만큼의 매력적인 장점이 없다는 평가입니다.
3.
"문서는 부실하고, 툴링은 엉망이다": 공식 문서가 부족하고 원하는 예제를 찾기 어려우며, 개발 생산성과 직결되는 Visual Studio의 지원(특히 XAML 디자이너)이 매우 미흡하다는 불만이 터져 나옵니다.
4.
"마이크로소프트의 또 다른 실험작?": 과거 실버라이트(Silverlight)나 UWP의 사례처럼, 마이크로소프트가 또다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내놓고 제대로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불신도 팽배합니다.
2. 개발자를 좌절시키는 WinUI 3의 주요 문제점
단순히 "불안정하다"는 말로는 부족합니다. 개발자들이 실무에서 직접 부딪히며 좌절하는 구체적인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옥 같은 XAML 디버깅: 가장 큰 고통으로 꼽히는 문제입니다. 오류가 발생해도 불친절하거나 전혀 엉뚱한 메시지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아 원인 파악에 며칠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2.
유명무실한 개발 도구: 코드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주는 'XAML Hot Reload'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자주 끊깁니다. 또한, UI를 시각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XAML 디자이너'는 거의 쓸모없는 수준이라는 평가가 많아 '반쪽짜리' 개발 환경이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3.
부족한 서드파티 생태계: WPF가 DevExpress, Telerik 등 강력한 서드파티 UI 컨트롤 라이브러리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WinUI 3는 아직 생태계가 매우 빈약하여 복잡한 UI를 직접 구현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오히려 복잡해진 구현: 간단한 창(Window) 제어나 기본적인 기능 구현조차 WPF보다 더 복잡하고 많은 코드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최신 프레임워크라는 말이 무색하게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3. 왜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은 WPF로 돌아갈까?
이러한 WinUI 3의 혼란 속에서, 많은 개발자들과 기업들은 안정적이고 검증된 WPF를 다시 주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시도했다가 시간과 비용만 낭비하고 결국 WPF로 프로젝트를 다시 리팩토링하는 사례는 이제 드문 일이 아닙니다.
1.
검증된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WPF는 1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많은 프로젝트를 통해 검증되었습니다. 어떤 기능이 어떻게 동작할지 예측 가능하며, 예상치 못한 오류로 개발 일정이 중단될 위험이 현저히 낮습니다.
2.
압도적인 생산성: 성숙한 프레임워크인 만큼, 개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스택 오버플로우나 커뮤니티에 존재합니다. 잘 갖춰진 문서와 풍부한 서드파티 컨트롤은 개발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킵니다.
3.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신뢰: 특히 안정성과 유지보수가 중요한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새롭고 빛나는 것'보다는 '확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런 점에서 WPF는 여전히 대체 불가능한 선택지입니다.
4. 안정성의 상징, WPF의 장점과 특징
그렇다면 WPF가 구체적으로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WinUI 3에서 겪었던 고통에 비하면, WPF 개발 환경은 '천국'이라고 표현하는 개발자들도 있습니다.
1.
성숙하고 방대한 생태계: 웬만한 문제는 검색하면 수많은 해결책과 예제 코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막히는 부분이 있어도 거대한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기 용이합니다.
2.
강력한 툴링 지원: Visual Studio의 XAML 디자이너가 제대로 작동하여 UI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개발할 수 있습니다. 디버깅 역시 WinUI 3에 비해 훨씬 직관적이고 수월합니다.
3.
풍부한 서드파티 컨트롤: 상용 및 오픈소스 UI 라이브러리가 매우 풍부하여, 복잡하고 미려한 UI를 직접 개발하는 수고를 덜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4.
MVVM 패턴을 통한 체계적인 설계: 데이터 바인딩을 중심으로 하는 MVVM(Model-View-ViewModel) 패턴을 적용하면, UI와 로직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코드의 가독성, 테스트 용이성,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5. WPF, 정말 구식 기술일까? (단점과 현실적 고찰)
물론 WPF에도 단점은 존재합니다. "구식 기술"이라는 꼬리표가 대표적입니다.
1.
최신 기술은 아님: Fluent Design과 같은 최신 UI 트렌드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아, 모던한 UI를 구현하려면 별도의 스타일링 작업이 필요합니다.
2.
성능 최적화: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그래픽 렌더링 시, 가상화(Virtualization) 등 성능 최적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애플리케이션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3.
학습 곡선: MVVM 패턴과 데이터 바인딩, 의존성 속성(Dependency Property) 등 WPF 고유의 개념에 대한 학습이 초기에 필요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단점들은 대부분 해결 가능하거나 관리 가능한 영역에 있다는 점입니다. **"작동하지 않는 최신 기술보다 제대로 작동하는 구식 기술이 훨씬 낫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WPF를 여전히 강력한 선택지로 만드는 이유입니다.
6. 각종 데스크톱 유틸리티, WPF가 정답인 이유
결론부터 말하자면, 파일 관리자, 시스템 모니터링 툴, 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양한 데스크톱 유틸리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WPF는 차고 넘치는, 오히려 최적의 선택입니다.
1.
안정적인 기능 구현: 파일 시스템 접근, 시스템 정보 API 호출, 이미지 및 미디어 처리, 복잡한 데이터 그리드 표시 등 유틸리티 앱 개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안정적으로 지원합니다. WinUI 3에서 겪을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버그로부터 자유롭습니다.
2.
자유로운 커스텀 스타일링: WPF의 강력한 스타일 및 템플릿 기능을 활용하면, 얼마든지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세련되고 모던한 디자인의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밋밋한 기본 UI를 벗어나 독창적인 앱을 제작하는 데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3.
검증된 성능과 신뢰성: 대부분의 유틸리티 프로그램 규모에서는 WPF의 성능 이슈가 발생할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빠르고 안정적인 앱을 신속하게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WinUI 3로 알 수 없는 XAML 오류와 씨름하며 개발 일정을 낭비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
WPF를 선택함으로써 '왜 안 되는지 모르겠는' 기술적 난관에서 벗어나,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결과물을 만드는 핵심 가치에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새로운 윈도우 데스크톱 프로젝트를 시작하려 하시나요?
•
혹은 WinUI 3의 불안정성에 지쳐 대안을 찾고 계신가요? 이 글이 기술 스택을 선택하는 데 있어 현실적인 이정표가 되기를 바랍니다.
•
화려한 미래를 약속하는 기술보다는, 지금 당장 당신의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완성시켜 줄 수 있는 검증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