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보니 나이 마흔에…
건축 현장에 몸담게 되어 공부하며 기록합니다.
•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및 기술
•
안전에 관한 사항들
•
도면의 종류와 보는 방법, 주의사항
•
건축업에 대하여 궁금했던 모든 사항들 조사 후 정리
1. 건설업 노임 단가
1) 건설업 현장 직종별 노임단가 - 를 보고 돈기부여!!
2. 건설업 용어
1) 건축 현장 은어 - 영상으로 보는
모르면 대략 난감해지는 현장용어들
초보 노가다꾼은 생소할 노가다 용어!! 쉽고 빠르게 알려드릴게요!![3분 쓴맛]
건설현장 현장 용어 정리.
건설현장(노가다) 초보가 살아남는법 그리고 챙겨야 할 현장 필수템은?
84 건축에 필요한공구들
2) 건축 현장 용어 - 글로 보는
a. 일본어 유래 용어
•
노가다 (Nogada): 막노동, 육체노동 또는 그 노동자를 의미합니다. (영상에서는 '막노동', '녹아 접한 노동자', '막일꾼'으로 언급)
•
데꼬보꼬 (Dekoboko):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상에서는 '요철', '울퉁불퉁'으로 설명)
•
데나오시 (Denaoshi): 작업이 잘못되어 처음부터 다시 하는 것, 재작업을 의미합니다.
•
아시바 (Ashiba): 공사 현장에서 작업 발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 즉 비계(飛階)를 뜻합니다.
•
바라시 (Barashi): 설치했던 구조물(주로 아시바나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
반생 (Bansen): 철사를 의미하며, 굵기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
자바라 (Jabara): 주름진 관 형태의 수동식 펌프나 주름관 자체를 의미합니다. (영상에서는 액체를 옮기는 펌프로 설명, 일본어 '뱀배(蛇腹)'에서 유래했다고 언급되나 '자바라' 자체가 주름을 뜻함)
•
사시낑 (Sashikin): 콘크리트를 이어 부을 때 연결을 위해 미리 뽑아두는 철근(이음 철근)을 의미합니다.
•
오사마리 (Osamari): 일의 마무리, 끝맺음을 의미합니다.
•
단도리 (Dandori): 작업 시작 전 준비, 채비를 갖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도리 잘해라"는 "준비 잘해라"는 뜻입니다.
•
메지 (Meji): 타일과 타일 사이의 줄눈을 의미합니다.
•
헤라 (Hera): 납작하고 얇은 도구로, 메지를 넣거나, 무언가를 긁어내거나, 펴 바를 때 사용합니다. (영상에서는 긁어내는 도구로 설명)
•
호로 (Horo): 천막이나 덮개를 의미합니다. (영상에서는 트럭 덮개 예시)
•
구배 (Gubae): 기울기, 경사를 의미합니다. (일본어 勾配)
•
야리끼리 (Yarikiri): 정해진 할당량을 끝내면 바로 퇴근하는 작업 방식을 의미합니다.
•
간조 (Kanjo): 계산, 셈을 의미하며, 영상에서는 '보름 간조'라는 예시를 통해 보름(15일) 간격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설명했습니다.
•
구루마 (Kuruma): 수레, 손수레를 의미합니다. (일본어로 '차 車')
•
덴조 (Tenjo): 천장을 의미합니다. (일본어 天井)
•
함바 (Hamba): 건설 현장 내에 임시로 지은 간이 식당을 의미합니다.
•
나라시 (Narashi): 땅이나 바닥 등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길들인다'는 뜻도 있다고 합니다.
•
시마이 (Shimai): 끝, 마무리를 의미합니다. "시마이 하자"는 "끝내자"는 뜻입니다.
b. 일본어 유래 용어 - 일본식 외래어 발음 및 기타 용어
•
공구리 (Kongguri): 콘크리트(Concrete)의 일본식 발음에서 변형된 말입니다.
•
하이바 (Haiba): 안전모, 헬멧(Helmet)을 의미합니다. '파이버(Fiber)' 재질로 만든 안전모에서 유래한 일본식 발음이라고 설명합니다.
•
뿌레카 (Pureka): 바위나 콘크리트를 깨는 파쇄기, 즉 브레이커(Breaker)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영상에서는 '착암기'로도 언급)
•
신나 (Shinna): 페인트 등을 묽게 만드는 희석제, 시너(Thinner)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
피스 (Piseu): 나사못(Screw)을 의미합니다. 프랑스어 'vis'가 어원이며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
빠루 (Bbaru): 못을 뽑거나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쓰는 쇠지레, 배척(Bar)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영상에서는 '노루발장도리'와 유사한 도구로 설명)
•
오함마 (Ohamma): 큰 망치, 해머(Hammer)를 의미합니다. 영어 'Hammer'에 크다는 뜻의 일본어 '오(大)'를 붙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
뻬빠 (Ppeppa): 사포(Sandpaper)를 의미합니다. 영어 'Paper'를 줄인 일본식 표현입니다.
•
빠데 (Ppade): 벽의 틈이나 움푹한 곳을 메우는 데 쓰는 반죽, 퍼티(Putty)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
가랑 (Garang): 수도꼭지를 의미합니다. 네덜란드어 'kraan'이 어원이며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
가빠 (Gappa): 비옷이나 방수포를 의미합니다. 포르투갈어 'capa'가 어원이며 일본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
대가리 (Daegari): 하루 품삯, 일당(Man-day)을 의미하는 속어입니다. 영상에서는 건설업을 스스로 낮추는 표현일 수 있다고 지적하며, 영어 'Man-hour'와 비슷한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비하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단어입니다.)
3) 헤베와 루베 - 세상에… 이게 정말인가…ㄷㄷ
•
헤베 & 루베 _ 건축인이라면 필독(꼭 보세요)
•
정의:
◦
헤베 (Hebe):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로, 가로 1미터, 세로 1미터인 1 제곱미터(㎡)를 의미합니다.
◦
루베 (Rube): 부피(체적)를 나타내는 단위로, 가로 1미터, 세로 1미터, 높이 1미터인 1 세제곱미터(㎥)를 의미합니다.
•
사용:
◦
주로 건설 현장에서 자재의 물량을 산출할 때 사용됩니다.
◦
예시: 기초 공사 시 거푸집의 면적은 '헤베' 단위로, 콘크리트의 부피는 '루베' 단위로 계산합니다. (영상 예시: 거푸집 7.16 헤베, 콘크리트 1.541 루베)
•
어원 및 유래:
◦
'헤베'와 '루베'는 일본식 한자어에서 유래된 표현이 한국 건설 현장에 정착된 것입니다.
◦
미터(m) 단위가 동양에 전파될 때, 발음이 비슷한 한자인 '쌀 미(米)'를 차용하여 미터를 '미(米)'로 표기했습니다. (중국어 발음 '미'가 영어 '미터'와 비슷)
◦
제곱미터(㎡)는 '평방미(平方 Mǐ)', 세제곱미터(㎥)는 '입방미(立方 Mǐ)'로 표기되었습니다.
◦
이것이 일본으로 넘어가면서 제곱미터(平方メートル)를 줄여 平米(へいべい, 헤이베이)로, 세제곱미터(立方メートル)를 줄여 立米(りゅうべい, 류-베이)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
이 일본식 발음이 한국으로 건너와 '헤베'와 '루베'로 굳어진 것입니다.
•
참조 사항:
◦
'헤베', '루베'는 다른 현장 용어(예: 나라시, 아시바, 공구리 등)처럼 일본어에서 유래된 비표준 용어입니다.
◦
올바른 우리말 표현은 제곱미터(㎡)와 세제곱미터(㎥)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건설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노가다 용어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습니다.
•
특히 일본어에서 유래된 용어들은 우리말 표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현장에서는 이러한 용어들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빠른 의사소통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고 올바른 우리말 용어를 사용하는 노력이 조금씩이라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이 글이 건설 현장에 처음 발을 디디신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낯선 용어들 앞에서 당황하기보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현장 경험을 쌓아나가시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혹시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궁금한 용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저 또한 계속해서 배우고 성장해 나갈 것이며, 함께 성장하는 사람이 됩시다!
노가다 용어 완전 정복 건설 현장 필수 은어 & 기술 용어 마스터하기